POSTECH 이차전지연구센터는 차세대 이차전지 개발을 위한 이차전지 소재 특성화 및 시스템 최적화 연구를 통해 세계 수준의 연구 역량 및 기술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이차전지의 소재부터 시스템까지 전반적인 통찰이 가능한 융합형 인재 양성을 추진함으로써 차세대 이차전지 연구 및 교육 허브로 성장해 나가고자 합니다.
PSBT 프로그램
이차전지 전문인력 양성포스텍과 삼성SDI는 배터리 인재 육성을 위해 “포스텍-삼성SDI 배터리 인재양성 과정 (Postech Samsung SDI Battery Track, PSBT)” 협약을 체결하여 배터리 소재, 셀, 시스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-
06.19
2024
화학 박수진 교수팀, 전해질을 지배하는 자, 전기차 시장을 선도한다[박수진 교수팀, 상용성 · 안전성 모두 확보한 리튬 배터리용 겔 전해질 개발]
-
05.30
2024
신소재 강병우 교수팀, 새로운 배터리 플랫폼 찾으려면? 본질에 집중하라![강병우 교수팀, 뛰어난 공기 안정성과 Li 젖음성 가진 가넷형 고체 전해질 개발]
-
05.27
2024
화학 박수진 교수팀, 고분자 보호막, 황화물 고체 전해질로부터 음극을 지켜줘![POSTECH · KAIST, 고분자 물질과 황화물 고체 전해질 간 상호작용 규명]
-
05.20
2024
화학 박수진 교수팀, 리튬 금속 배터리를 위한 새로운 이정표[POSTECH·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·포스코 미래기술연구원, 리튬 금속 전지를 위한 다공성 구조체 개발]
-
05.17
2024
신소재/반도체 최시영 교수팀, 원자 사이의 숨바꼭질, 도펀트를 찾아라![POSTECH·KRICT·LG에너지솔루션, 전기차 배터리 양극 도핑 안정화 메커니즘 규명]
-
05.09
2024
신소재/친환경 강병우 교수팀, “금속과 공기로 전기를 만드는 마법” 골칫덩이였던 탄산염이 한 건 했다![POSTECH 강병우 교수팀, 고에너지 · 고효율 전고체 Na-공기 전지 플랫폼 개발]
-
03.25
2024
신소재 김용태 교수팀, 높은 스펙의 고순도 양극재, 과연 필요한가?[김용태 교수 연구팀, 이차전지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획기적인 대안 제시]
-
03.11
2024
화학 박수진 교수팀, 전고체 전지 기술의 새로운 돌파구, “아래부터 찬찬히” 리튬의 성능을 높이다[POSTECH ·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 공동 연구팀, 새로운 리튬 전착 전략으로 전고체 전지 성능과 내구성 향상]
-
01.30
2024
화학 박수진 교수팀, 1,000km 달리는 꿈의 전기차, 젤로 가능하다[박수진 교수팀, 전자빔 활용하여 일체형 실리콘-젤 전해질 시스템 개발]
-
12.21
2023
POSTECH 노준석 · 안지환 교수, ‘2023년 10대 나노기술’ 선정[미래 과학기술과 나노 산업을 주도할 우수 연구 기술에 이름 올려]
-
11.24
2023
화학 박수진 · 신소재 김연수 교수팀, 양쪽성 이온의 마법, 전지 수명 늘렸다[박수진 · 김연수 교수 공동 연구팀, 에너지 저장 시스템 아연 전지 내구성 향상]
-
11.10
2023
친환경소재/화공 조창신 교수팀, 피부에 바르지 마세요, 배터리에 양보하세요[조창신 교수팀, 화장품 원료인 바이오 고분자로 배터리 전극 보호막 개발]
-
10.30
2023
화학 박수진 교수팀, 전기차, 한 번 뽑았으면 오래 타야지[박수진 교수팀, 듀얼 이온 전지 수명 늘리는 고분자 바인더 개발]
-
09.21
2023
화학과 박문정 교수팀, 전기차, 지구와 운전자 모두를 지켜라[박문정 교수팀, 이온 전도성과 안정성이 높은 전고체 배터리 개발]
-
06.14
2023
화공/철강·에너지 김원배 교수팀, 정체된 배터리 용량과 급속 충전의 한계, ‘스핀’으로 돌파하다화공/철강·에너지 김원배 교수팀, 정체된 배터리 용량과 급속 충전의 한계, ‘스핀’으로 돌파하다
-
04.20
2023
철강·에너지 조창신 교수팀, 친환경 에너지 시대… 해답은 바다에 있다?[조창신 교수 연구팀, 킬레이트제 사용 해수전지 우수성 확인]
-
03.20
2023
화학 박수진 교수팀, 주행거리 10배 이상 늘리는 배터리 나온다화학 박수진 교수팀, 주행거리 10배 이상 늘리는 배터리 나온다
-
02.20
2023
화공 김원배 교수팀, 고속 충전 실현할 ‘마이크로 패터닝’ 기술 개발[POSTECH-부경대 연구팀, 전고체 이차전지 계면 불안정성 개선]
-
11.25
2022
신소재 강병우 교수팀, “꿈의 전지” 산화물 전고체전지, ‘리시콘(LiSICON)’구조로 해법 찾는다[강병우 교수팀, 전고체전지 이온 전도도 개선 방안 제시]
-
10.25
2022
화학 박수진 교수팀, “물, 마시지 말고 ‘배터리’에 양보하세요”[박수진 교수팀, 수계 전해질에서 구동하는 아연 전지 시스템 개발]
-
09.27
2022
화학과 박수진 교수, 1회 충전으로 630㎞ 달리는 무음극 배터리 개발 -
02.22
2022
철강·에너지 박규영 교수, 값싸고 용량 큰 니켈 소재 ‘옷 입혀’ 배터리 수명 연장한다 -
02.16
2022
화공 한정우 교수팀, ‘철(Fe) 든’ 이중 원자 촉매로 이산화탄소 전환 효율 높인다 -
09.13
2021
화학 박문정 교수팀, ‘30분’ 만에 리튬-황 전지용 양극재 합성…높은 효율 갖는 유연 배터리 눈앞으로 -
08.06
2021
화학 박문정 교수-첨단재료 손창윤 교수 공동연구팀, ‘데드존’ 없는 전고체 배터리용 고분자 전해질 -
07.19
2021
화공 한정우 교수팀, 외부 요인에 따라 내부 격자 모양 변형하는 촉매 설계법 개발